이주환의 블로그 1 페이지 >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주환의 블로그
[이슈페이퍼 2022-18] 학교현장에서 교직원 간 갈등 실태와 정책 개입 방향
2022-11-22 | 조회수 : 223 이슈페이퍼 2022-18] 학교현장에서 교직원 간 갈등 실태와 정책 개입 방향-교육공무직 및 교사 설문조사 분석 결과-작성자: 이주환 한국노동사회연구소 부소장○ 이 글에서는 교육공무직원 2,028명과 교사 562명에 대한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하여 학교현장 노동자 간 갈등 실태와 원인을 추론하고, 정책의 개입 방향을 검토하고자 하였음.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
[이슈페이퍼 2021-10] 2010년대 한국의 노동조합 조합원
2021-06-16 | 조회수 : 1260 [이슈페이퍼 2021-10] 2010년대 한국의 노동조합 조합원- 누가 더 많이 가입하나, 누가 더 많이 덕을 보나 -작성: 이주환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 이 글에서는 고용노동부와 통계청의 노조 조합원 통계자료를, 상대적 대표성(‘특정 집단 노조 조직률’에서 ‘전체 임금노동자 노조 조직률’을 뺀 수치)과 상대적 권력(‘특정 집단 소속 조합원이 전체 조…
[연구소의 창] 밝아 오는 초기업노조 전성시대
2020-10-07 | 조회수 : 1576 작성자: 이주환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40 대 60’에서 ‘60 대 40’으로 2000년대 초중반에는 ‘무늬만 산별’이라는 비아냥 섞인 비판이 지식인과 노동운동가 사이에서 제법 호응을 얻었다. 1990년대 후반 한국을 강타한 사회경제적 위기를 계기로 상당수 기업노동조합이 결합하여 몇몇 산업노동조합이 만들어졌는데, 이 조직들이 설립 시 내세웠던…
[지구촌 돋보기] 독일에서 ‘아래로부터 조직화’와 노동조합 혁신: 제도적 제약, 전략적 딜레마, 그리고 조직…
2020-10-05 | 조회수 : 2096 독일에서 ‘아래로부터 조직화’와 노동조합 혁신: 제도적 제약, 전략적 딜레마, 그리고 조직적 긴장​1) 1) 이 글은 다음 글을 요약 및 번역한 것입니다. Nicklich…
[지구촌 돋보기] 영미식 조직화 모형의 유럽식 수용: 독일 노동조합 사례(상)
2020-09-08 | 조회수 : 1817 1990년대 호주, 미국, 영국 등의 노동운동이 제기한 이른바 ‘조직화 모형’은 오늘날 산업화된 국가 대다수의 노동조합총연맹에서 전략적 표준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의 수용 양상과 그로부터 비롯된 성과는 국가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다. 여기에서는 강한 노동제도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는 독일에서 조직화 모형이 어떠한 맥락과 조건 속에서 수용되었으며, 어…
[지구촌 돋보기] 유럽노총의 ‘노동자 참여 2030 시나리오’
2020-08-10 | 조회수 : 1816 유럽노총의 ‘노동자 참여 2030 시나리오’   2010년 유럽노총연구소(ETUI)는 ‘노동자 참여 2030 시나리오’ 프로젝트를 추진했다(Stollt & Meinert 2010).1)1) 이하의 내용은 다음 책의 일부를 요약 정리한 것이다. Stollt, M., &…
[지구촌 돋보기] 2000년대 영국 노동조합 조직화 캠페인의 내용과 특징
2020-07-06 | 조회수 : 2047 2000년대 영국 노동조합 조직화 캠페인의 내용과 특징1)* 이 글은 Simms, M., Holgate, J., & Heery, E. (2012). Union voices: Tactics and tensions in UK organizing. Cornell University Press. 중에서 5장 “Organising Camp…
[지구촌 돋보기] 2000년대 영국 노동운동의 조직화 활동 평가
2020-06-08 | 조회수 : 2078 2000년대 영국 노동운동의 조직화 활동 평가1)-1) 이 글은 아래 논문을 요약 번역한 것입니다.Simms, M., Holgate, J., & Heery, E. (2013). Evaluating Union Organising in the United Kingdom. In Warsaw Forum of Economic Sociology (Vo…
[지구촌 돋보기] 노동조합과 조직화로의 전환: 조직화 활동 20년의 성찰
2020-05-06 | 조회수 : 2013 노동조합과 조직화로의 전환: 조직화 활동 20년의 성찰1)- 1) 이 글은 다음의 논문을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Heery, E. (2015). Unions and the organising turn: Reflections after 20 years of organising works. The Economic and Labour Relations Revie…
[칼럼] 평범한 다수가 불행해지지 않는 사회로 가는 길
2017-09-28 | 조회수 : 3512 중앙대학교 대학원신문에 기고한 칼럼입니다. 원문은 아래 링크된 페이지에 있습니다. http://gspress.cauon.net/news/articleView.html?idxno=21465 이전의 두 정부는 “인재대국”과 “창조경제”를 부르짖었다. 지금 문재인정부는 “노동 존중 사회”를 천명했다. 둘 사이 차이는 명확하다. 이를테면 인재…